[코독하구만 팀] 2020.12.30(수) - 2주차 모임 결과
<개인 결과>
고도현 - prim 알고리즘과 kruskal 알고리즘 개념 및 실습 문제를 복습하고 백준 문제를 통해 실제 문제에 적용해봄으로써 둘의 차이와 알고리즘 동작방식에 대해 확실하게 아는 계기가 되었다.
신희승 - 분할정복 알고리즘에 대해 공부하면서 하나의 큰 문제를 바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여려개의 문제로 분할하여 해결하는 것이 시간복잡도나 효율성 면에서 더 뛰어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.
이동헌 - Kruskal 알고리즘을 복습하면서 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할 수 있었고 수업 시간에서의 예제 이외의 문제를 접해봄으로써 개념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응용 방법을 습득할 수 있었다.
최현석 - 알고리즘 예제를 풀며 시간과 메모리 비용을 줄이기 위해 메모리 할당 방법, 조건문 설정 등을 생각하며 했더니 효율성이 훨씬 좋아졌다. / 시간이 부족해 네이버 홈페이지를 크롤링하는 데에서 멈추었다. 다음 모각코엔 크롤링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.
<개인 블로그 링크>
고도현 - codekodo.tistory.com/10
신희승 - ciwekdo.tistory.com/6
이동헌 - blog.naver.com/tortoise11/222190728181
최현석 - coderhs.tistory.com/4
'⛹️ 라이프 > 2020 겨울방학 모칵코(팀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코독하구만 팀] 2021.01.05(화) - 3주차 모임 결과 (0) | 2021.01.05 |
---|---|
[코독하구만 팀] 2020.01.05(화) - 3주차 모임 목표 (0) | 2021.01.05 |
[코독하구만 팀] 2020.12.30(수) - 2주차 모임 목표 (0) | 2020.12.30 |
[코독하구만 팀] 2020.12.23(수) - 1주차 모임 결과 (0) | 2020.12.23 |
[코독하구만 팀] 2020.12.23(수) - 1주차 모임 목표 (0) | 2020.12.23 |